2024.04.29 (월)

  • 맑음속초9.6℃
  • 맑음12.6℃
  • 맑음철원13.3℃
  • 맑음동두천16.8℃
  • 맑음파주14.4℃
  • 맑음대관령5.0℃
  • 맑음춘천14.8℃
  • 구름조금백령도11.1℃
  • 맑음북강릉9.3℃
  • 맑음강릉11.1℃
  • 흐림동해12.3℃
  • 맑음서울18.6℃
  • 맑음인천16.9℃
  • 흐림원주18.2℃
  • 안개울릉도12.8℃
  • 맑음수원16.1℃
  • 흐림영월14.2℃
  • 흐림충주16.3℃
  • 맑음서산14.1℃
  • 흐림울진12.6℃
  • 흐림청주16.8℃
  • 흐림대전15.6℃
  • 흐림추풍령13.0℃
  • 흐림안동14.3℃
  • 흐림상주14.3℃
  • 흐림포항14.7℃
  • 흐림군산16.7℃
  • 흐림대구13.9℃
  • 흐림전주16.4℃
  • 비울산12.7℃
  • 흐림창원14.9℃
  • 흐림광주16.0℃
  • 흐림부산14.2℃
  • 흐림통영14.2℃
  • 비목포15.2℃
  • 흐림여수15.2℃
  • 흐림흑산도13.8℃
  • 흐림완도15.8℃
  • 흐림고창14.8℃
  • 흐림순천14.9℃
  • 맑음홍성(예)16.4℃
  • 흐림15.2℃
  • 비제주15.6℃
  • 흐림고산15.3℃
  • 흐림성산15.3℃
  • 흐림서귀포17.8℃
  • 흐림진주14.3℃
  • 맑음강화13.7℃
  • 맑음양평16.2℃
  • 구름많음이천16.3℃
  • 맑음인제10.9℃
  • 맑음홍천13.9℃
  • 흐림태백9.1℃
  • 흐림정선군11.0℃
  • 흐림제천14.1℃
  • 흐림보은14.5℃
  • 흐림천안16.3℃
  • 맑음보령14.6℃
  • 흐림부여16.6℃
  • 흐림금산14.4℃
  • 흐림16.2℃
  • 흐림부안16.2℃
  • 흐림임실15.0℃
  • 흐림정읍15.3℃
  • 흐림남원15.0℃
  • 흐림장수13.5℃
  • 흐림고창군15.5℃
  • 흐림영광군14.6℃
  • 흐림김해시14.4℃
  • 흐림순창군15.5℃
  • 흐림북창원15.4℃
  • 흐림양산시14.9℃
  • 흐림보성군15.6℃
  • 흐림강진군15.7℃
  • 흐림장흥15.6℃
  • 흐림해남16.0℃
  • 흐림고흥15.1℃
  • 흐림의령군15.1℃
  • 흐림함양군14.0℃
  • 흐림광양시15.0℃
  • 흐림진도군15.2℃
  • 흐림봉화13.0℃
  • 흐림영주14.3℃
  • 흐림문경14.3℃
  • 흐림청송군13.1℃
  • 흐림영덕13.7℃
  • 흐림의성14.7℃
  • 흐림구미14.5℃
  • 흐림영천13.7℃
  • 흐림경주시13.8℃
  • 흐림거창13.0℃
  • 흐림합천14.2℃
  • 흐림밀양15.7℃
  • 흐림산청13.8℃
  • 흐림거제14.3℃
  • 흐림남해14.7℃
  • 흐림15.8℃
기미양, "영화 주제가 <아리랑> 연구"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기미양, "영화 주제가 <아리랑> 연구"

우리가 일반적으로 '전통아리랑'이라고 부르는 아리랑이 바로 영화 아리랑의 주제가 '아리랑'이다. 영화 아리랑보다도 주제가로 불린 '아리랑'이 먼저 전국으로 확산된다.

img_811165157_kibada_kibada.jpg
우리가 일반적으로 '전통아리랑'이라고 부르는 아리랑이 바로 영화 아리랑의 주제가 '아리랑'이다. 영화 아리랑보다도 주제가로 불린 '아리랑'이 먼저 전국으로 확산된다. 1926년 이후 여러 지역에서 여러 명창으로 불린 아리랑은 아리랑의 전형성을 획득하게 된다. 그래서 아리랑의 역사는 1926년 전후로 분류된다. 1930년 중반 진도아리랑, 대구아리랑. 동래아리랑 음반이 나오게 되다.

 


                  
                                               영화 주제가 <아리랑> 연구  


논문요약

  이 논문은 영화 주제가 <아리랑> 연구를 통해 ‘주제가 <아리랑>’ 사설이 형성되는 상황과 사회문화적으로 확산되는 과정을 살펴본다. 이 과정에서 주제가 <아리랑>의 의미와 특성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새로운 아리랑인 ‘주제가 <아리랑>’이 근대 미디어에 의해 사회문화적으로  대중화 되는 과정에서 대중문화예술 전 분야로 확산되는 성격변화를 거치는데, 이러한 배경에서 주제가 <아리랑>은 모든 아리랑을 지칭하는 대표성을 부여받아 ‘아리랑’으로 통칭된다.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하여, 오늘날까지 이어지는 ‘아리랑’의 문화적 코드에 대해 이해해 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최종적으로는 ‘아리랑’이 어느 시점에선가 남과 북, 그리고 한민족 동포사회에서 ‘민족공동체의 동질감과 사회적 통합을 갖기 위한 기저로 작용하여 상징적 지위를 부여받게 된 것을 규명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점에 유의하여 일차적으로 일반적으로 오래 전부터 불리어진 전통 민요로 잘못 알고 있었던 주제가 <아리랑>의 형성배경을 살펴보는 과정에서, 민요로써의 <아리랑>, 주제가로써의 <아리랑>을 분석한다.
  이를 위해서 나운규가 감독한 영화 <아리랑>과 주제가 <아리랑>에 대해 근대의 시각으로 심도 있게 고찰해 볼 필요가 있다. 그동안 영화 <아리랑>의 작품론, 작가론 등에 대해서는 이미 많은 연구가 있어 왔다. 그러나 민요 아리랑과 주제가 <아리랑>, 주제가 <아리랑>과 영화 <아리랑>은 불가분의 관계인데도 학계에서는 각각 개별적인 연구에만 머물러 왔다.
  이 논문은 영화 서사구조 속에서 영화적 장치에 의해 의도적으로 작용하여 불리어지는 주제가 <아리랑>의 특성을 도출하려고 한다. 더불어 영화의 인기와 장기상영에 의해 주제가 <아리랑>이 사회문화적으로 확산되는 과정에서 주제가 <아리랑>의 성격 변화를 규명하는, 주제가 <아리랑>에 대한 융합(hybrid)연구이다. 나아가 선행연구의 문제점을 보완하여 그동안 국문학계, 영화학계, 민속학계, 음악학계 등에서 서로 타자의 입장에서 방치해왔던 주제가 <아리랑>에 대한 통합적인 연구를 기대해 본다.
  연구의 시각과 방법론은 영화 개봉 1926년을 기점으로 하여 이전의 ‘전승 아리랑’ 상황을 개괄하여 주제가의 형성과정을 인식하고, 영화 서사 구조 내에서 작용하는 주제가의 기능과 의미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영화개봉 전후 관련 자료와 나운규와 당시 영화 관계인들의 증언을 통해서, 기존의 4절과 발굴된 5절의 주제가 전 9절이 ‘나운규 작사, 김영환 편곡으로 이루어 졌고, 주제가 각 절이 영화적 장치에 의해 서사 구조 속에서 의도적으로 배치되어 불려졌음을 재구성하여 확인하여 본다.



ABSTRACT

A study on the cinema  Theme Song <Arirang>


                                                   Kee Mee Yang
                                                    Korean Language & Literature
                                                    Sungkyunkwan University


    This study examines the conditions for the formation of the editorial of the 'Theme Song <Arirang>' and the process of it to expand socially and culturally by studying the movie Theme Song <Arirang>. Processing this, this study aims at defining the meaning and features of the Theme Song <Arirang>.

  In the process of the new Arirang called 'Theme Song <Arirang>' being popularized socio-culturally through modern media, it undergoes feature changes that permeates to all sectors of public cultural arts. Under such circumstances, Theme Song <Arirang> is commonly called 'Arirang' as the one that represents all Arirang songs.
  This aims at understanding the cultural code of 'Arirang' that continues until today based on such background. Through this, it is expected to define the application of 'Arirang' as a foundation for homogeneity of a race and social integration for North and South Korea, and in the Korean emigrant society, while defining how it receives a symbolic position.
  Considering these points in this study, while examining the background for the formation of Theme Song <Arirang> that was wrongfully known as a traditional folk song, <Arirang> is analyzed as a folk song and as a theme song.
  For this, there is a need for in-depth inquiry on the Theme Song <Arirang> and the movie <Arirang> directed by Na Woon-gyu from a modern approach. There has already been many studies made on the work and director of the movie <Arirang>. However, despite the fact that the folk song Arirang and Theme Song <Arirang>, and the Theme Song <Arirang> and movie <Arirang> are inseparable, the academic sector has for some reason only made individual studies on them.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features of the Theme Song <Arirang> that is intentionally used through cinematographic tools within the film's narrative structure. In addition, this is 'a Hybrid' study on the Theme Song <Arirang> and defines the changes of the features of the Theme Song <Arirang> in the process of which it becomes socio-culturally proliferated through the popularity and long runs of the film. Furthermore, integrated studies on the Theme Song <Arirang> that has been abandoned from the different perspectives of the traditional music sector, cinematography sector, folk study sector and music sectors can be expected by supplementing the problems with preceding studies.
  The visuals of the study and its methodologies becomes aware of the formative process of the theme song by summing up the situation of 'passed-down Arirang' prior to 1926 when the film was released and analyzes the functions and meanings of the theme song that is effective within the film's narrative structure. Based on relevant information before and after the release of the film and through the testimonies of Na Woon-gyu and film critics, verses 4 and 5 and verse 9 of the theme song were written by Na Woon-gyu and composed by Kim Young-hwan. In addition, it was reconstructed that these verses were intentionally placed in the narrative structure through cinematographic tools.


Key Words : Traditional Arirang, Common Arirang, Jabga Arirang, Na Woon-gyu,
              Movie <Arirang>, Theme Song <Arirang>, New Arirang,
              Popular Song  Arirang, Bonjo Arirang.



연구"">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